이 글을 쓰는 이유 :
제가 요즘 한국썹에 부캐를 키우고있는데, 처음하시는 분들은 요놈의 게임이 뭐 어떻게 돌아가는
지를 모름 . 뭐 잘못은 아님 처음하는건데 그걸 다 아는게 비정상이지.
그래도 알면 좋잖아여? 그래서 게임이 어떻게 돌아가는 건지를 알려드릴꺼임 쉽고 강하게
1. 게임 시작 전
님이 게임시작 버튼을 누르고 '아 존나 방안잡히네 게임이 망했나' 라고 생각할떄쯤 북소리와
함께 빨랑 게임 들어오랑께 하는 창이 뜰겁니다. 가끔 소름돋을 때가있음 리옷이 나를 감시하나
여튼 그렇게 방에 들어가면 벌써 한두개쯤 챔피언 얼굴이 쏙 들어가있고 나 미드갈꺼임이라고
말하고있는 망할 팀원놈들이 보입니다. 안보일수도 있구여.
1-1 챔피언 픽. 조합
챔피언을 고르는건 앞으로 게임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행동이져
예를들면 마법사인 미드 누커캐만 한 4마리쯤 락인되있으면 그냥 방을 깨는게 멘탈 보호에 도움이됨.
하지만 크리스마스에 선물받고싶은 착한 어린이 롤 유저라면 팀 조합을 생각해야합니다.
(안 착하시면 같이 미드 누커캐를 골라서 5미드를 간다음 전챗으로 this is aram come on mid 하시면됨)
기본적으로 조합에 꼭 필요한 것이 3개가 있는데여
1)원거리 물리 딜러
2)ap누커(마법사)
3)탱커
요래 있음.
일단 왜 저 세마리가 조합에 꼭 필요하냐?
일단 두종류의 딜러가 필수인 이유는 물방과 마방떄문에 그렇슴다. 우리팀 딜러가 다 물리계열 딜러면
상대방은 물방만 올려도 우리 딜이 하나도 안박힘 (물론 꼭 물리딜러밖에 없는데 공략에서 마방가랫
어여 하면서 마방템 두르는 인간들이 있기에 언제나 맞는말은 아닙니다 보통 그렇다는거져)
그리고 탱커가 필요한 이유는 한타때 딜러들을 지켜줘야댐. 적팀의 더러운 암살캐랑 딜탱들이
한타 시작하자마자 저놈잡아라 하면서 고스트키고 뛰어오면 물피인 우리 딜러들은 튀느라고 딜을 안합니다.
우리딜러 때리러 가는놈 패서 스턴멕여놓으면 우리 딜러가 때려서 혼내줍니다. 그래서 탱커는 필요함.
Q : 물리딜러만 있으면 되는거니 원딜말고 근딜하면 안되나요?
A : 보통 딜하려고 붙는 도중 니가 녹습니다.
Q : 딜탱이랑 암살캐가 뭔가여 ?
A : 딜탱은 탱템입고 딜이 나오는 나쁜놈들이구여 주로 아군 보호보단 적 딜러 패죽이는거 합니다.
그러니까 퓨어탱 골라놓고 딸피 쫒아가지 마세요ㅇㅇ? 암살캐는 폭딜이 나오고 안전하게 도망치는
기술을 포함한 놈들을 말함.
Q : 딜러가 많으면 딜이 지전 쎄니까 다잡지 않나요?
A : 딜러는 템이 잘나와야 쎈데여 딜러가 많아지면 템이 잘 나올 가능성이 줄어듬. 글고 두명만
키워도 5명 다 죽일 수 있음 딜러 아닌애들이라고 딜이 없는것도 아니니까여. 그리고 딜러가 아닌 애
들은 우리 딜러가 날뛸수있게 스턴같은거 갖고있는 경우도 많음. 딜탱같이 메인딜은 아니어도 무시
못하는 딜이 나오는 칭구들도 있구여.
여튼 우리팀에 원딜이 없거나 누커(마법사)가 없으면 골라주시고, 둘다 있으면 괜히 더 고르지말고
조용히 탱커고르시고 탱커도 있으면 딴거 고르세여.
그리고 자리가 중요한데,
요새 추세는 eu스타일이라고 해서
탑 솔로 : 딜탱,탱
미드 솔로 : 누커
봇 듀오 : 서포터+원거리 딜러
정글 : 딜탱,탱
이래 보내는걸 선호합니다.
하지만 저랩이라면 미드에 누커가 가는것만 거의 고정이고 나머지는 자기 가고싶은데로임 ㅋㅋ
일단 서포터가 있을 가능성이 적어서 (서포터란 자기는 돈도 안벌고 원딜에게 돈을 몰빵해준다음
와드셔틀 + 스킬셔틀 하는 애들을 말함 얘들은 템을 안가도 능력이 나오도록 설계되있음)
원딜 + 서포트라는 조합을 갖추기도 어렵고 애들이 정글돌줄도 몰라서 두명이서 탑갑니다.
즉 미드 솔로 : 누커
봇듀오 : 꼴리는거
탑듀오 : 꼴리는거
이게 저랩 현실임 (가끔 난 혼자 잘클꺼야 미드 보내줘하는 애들이 누커도 아니면서 미드가기도 함)
이런 현실에 직면하면 가능한 한 평타모션이 근접캐릭인 캐릭 둘이 같은 라인을 보내지만 않도록
합시다. 잘하는애들 만나면 미니언 한번 못먹어보거든여.
Q : 왜 꼭 누커를 미드보내야됨?
A : 누커는 레벨만 높아도 데미지가 쎄지니 솔로라인 줘야 맞고, 스턴같은것도 하나씩 있어서
다른데 쳐들어가기 좋으라고 탑 말고 미드보냄.
Q : ㅇㅇ 근데 누커가 뭐임?
A : 누킹이라고 핵폭탄처럼 딜하는거를 말함. 마법사들은 대개 마법콤보로 폭딜을 넣을 수 잇듬
그래서 누커라 함. 누커들은 대개 스킬딜이라서 스킬 쿨이 돌면 잉여가 댐. 반댓말로 dps라고
꾸준 딜러들이 있음. 평타딜러들임 원딜 근딜들.얘들은 쿨이 없지 평타니까.
아 그리고 부캐들이 있으면 얘들이 정상적인 조합을 추구하려 합니다.
이거 들고있는 애가 있으면 난 정글을 가겠다는 뜻
이런거 들고 있는 애들은 난 서포터야 라고 말하고 있는거임.
여튼 이렇게 조합을 짰으면 우왕굿 하면서 난 역시 쩔어 조합을 맞췄어 하면서
자신감을 업시킨다음 게임을 시작하도록 합시다.
Q : 정글러가 뭐임
A : 중립몹잡고 크는 애들임 한명이 정글속으로 들어가니까 원래 두명이 가던 데를 혼자 가서
경험치 돈 다 줏어먹고 짱쎄지겟지. 야생의 정글러들은 어디서 뭐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없으니
이 점을 이용해서 다른 라인에 갑툭튀해서 아따 피없으신데 여기서 뭐하신당ㅇ가 하면서 잡아
먹을 수 있음 이를 갱킹이라고 함.
2. 게임 시작
드디어 제대로 된 조합을 만나서 게임을 시작햇습니다.
못만났으면 뭐 어쩔수 없고요. 비정상적인 팀은 보통 처발처발 하기때문에 정상적인 게임 흐름에서
벗어나는 일을 자주 저지르곤 합니다 (대표적으로 2미드를 가서 둘다 잉여가 되는)
대충 블라인드 픽이라면(적이 고르는걸 못보는 게임) 게임이 시작하고 로딩화면에서 상대방의
조합을 볼 수 있슴.
여기서부턴 탑솔,미드,정글,봇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겠음.
2-1. 0:00~2:00 자유시간
일단 게임이 시작됬음. 님네 팀과 님은 님네 본진에 짱박혀서 반상회를 하고 있음.
보통의 저랩 게임이라면 스물스물 템사고 걸어나와서 우리 타워 근처에서 멍때리면서
미니언을 기다린다든지 아니면 부쉬속에 뭐가 숨어잇나 하면서 쏙 들어갔다가 먼저 대기타고
있는 적챔 두명에게 대차게 얻어맞고 흑백화면보던지, 반대로 대기타고 있다가 부쉬에 대한
호기심을 감추지 못하는 착한 적챔어린이에게 일찍 자라고 흑백화면을 선물해주는게 일반적.
정글러가 있는 게임이라면 정글러가(아마도 부캐) 리시 해줘요 할꺼임.
리시가 뭐임? 하면 걔가 설명해주겠지만 이런 펔킹눕이랑 내가 게임을 하다니! 하면서 화를
내는 또라이가 하나쯤은 있게 마련이라 대신 설명해주자면
중립몬스터를 한대 때려서 걔가 나를 보게 하는거임. 그러는동안 우리 정글러는 피손실없이
정글몹을 잡을 수 있으니까여. 돠주는거죠. 보통 블루리쉬라 하면 파란색 오라 두른 골렘을
한대 때려달란 말임. 보통 미드가는 사람이 때려주는게 일반적임.
(블루골렘은 1: 55분에 리젠되고 2:00쯤 되면 미니언들이 싸우다 죽어나가고 있음. 그렇다고
리시 해주려다 미니언먹겠다고 걸로 가버리면 정글러 화내니까 그냥 미니언 한마리 포기하고
쳐줍시다)
좀 더 수준이 올라간 게임에서는, 우리 정글러가 블루 먹는거 방해하려고 1랩 5명이서 쳐들어
오는 경우가 있음. 1랩갱, 1랩한타라고 하는데 이땐 렙이 낮아서 스킬 3~4개 맞으면 으앙쥬금
이기 때문에 스턴같은거 있는 쪽이 보통 쳐들어감.
2분까지 할 일
탑 : 파란팀이면 우리팀 블루한두대 쳐주고, 보라팀이면 놀든가 우리 밑정글을 배회
미드 : 우리팀 블루를 한대 쳐줌. 스킬까지 넣어주면 좋고.(도와준답시고 뺏어먹으면 평생들을
욕 다들음)
봇듀오 : 보라팀이면 우리팀 블루 잡는거 몇대 쳐주고, 파랑팀이면 우리 윗정글 배회
서포터는 0:05에 적 본진에 cv(만약있다면.)
정글 : 블루먹장 ㅎㅎ 1:40초에 젠되는 늑대부터먹어도 되는데 쪼랩에선 힘들걸
2-2. 게임 초반 1 (봇라인 챔피언 기준 1~6랩구간)
이제 미니언이 나오기 시작했고, 본격적으로 라인전이 시작됨.
쪼랩이라서 다들 피통이 낮기 때문에, 몇대 맞으면 피가 무식하게 깎임. 템도 부실하기때문에
서로 몸을 사리면서 짤짤이로 서로 견제를 함. 1차 목표는 미니언을 잡아서 돈을 벌고 경험치로
레벨업을 하는 것이지만, 같은 라인에 서있는 적 챔프를 죽이거나 성장을 방해하는 것도 중요함.
약 4분대가 되면 슬슬 정글러들이 3~4랩을 찍을 때가 됨. 솔로라인 챔프는 대개 4~5랩.
정글러들은 4랩을 찍으면 주력스킬 2랩에 모든 스킬 1랩씩, 궁을 제외한 모든 스킬이 생기는데다
더블버프라는, 슬로우 + 추가뎀 + 쿨타임감소 + 마나리젠이라는 슈퍼모드가 되있음.
이 상태에서 정글러들은 라인을 매의 눈으로 지켜보면서 킬을 딸 궁리를 하게 됨.
따라서 이 전에 적 챔피언의 피를 팍팍 까놓으면 이 때 정글러가 몰래 와서 쟤를 잡자 하면서
갑툭함. 운이 좋으면 잡을 수 있음.
이런 식으로 초반이 흘러가기 시작함. 극초반은 각 라인을 선 라이너들이 얼마나 간지돋게
라인전을 해서 정글러가 오기 좋게 우리 타워쪽으로 미니언을 땡겨놓고, 먹기 좋게 적 챔프를
요리해놨느냐, 그리고 정글러가 얼마나 아트한 갱킹을 하느냐에 따라 게임대세가 결정됨.
이 초반갱킹에서 각 라인이 다 털렸다면 한동안은 졸라 잘큰 적 정글러때문에 게임이 내내
말려들게됨.
극초반을 그래서 정글러의 시간이라 부를 수 있음.
뭐 정글러가 없다구여? 그럼 이 시간은 그냥 파밍의 시간으로 바뀜. 야 싱난다 농사짓자
보통 정글러가 없다면 각 라인에서 킬은 아주 드물게 나옴. 물론 6랩전의 이야기.
시간이 지나면서 미드,탑에서 먼저 6랩을 찍게 되는데, 6레벨은 각 캐릭터의 궁이 나오는 시점임.
궁은 말 그대로 궁극기라서, 라인전의 위험도를 크게 높이게 됨. 특히 미드에서는 6을 찍으면 서로
적챔을 원콤에 보낼 수 있는 한방콤보가 완성됨.(이때 봇듀오는 4~5랩쯤 됨.)
정글러가 왔을 때 죽일 수 있는 가능성도 더욱 높아짐. 정글러까지 6랩이 되어 궁을 배운다면
이때부턴 잘못 움직였을 때 풀피에서도 죽을 수 있음. 6랩이 나오면서 각라인에선 킬이 나오게
되고, 6랩까지 한 파밍을 바탕으로 각 캐릭터들이 아이템을 장비하기 시작함. 즉, 본격적인
게임의 시작은 이제부터.
게임초반1에 할 일
탑솔 : 탑솔은 무한 파밍을 하면서, 적의 파밍을 견제하는게 골자. 탑은 타워와 타워사이의
거리가 좀 길어서 적챔의 피를 까는것보다 라인을 잘 땡겨서 우리 타워앞에 놓는게 더 중요.
그럼 정글러가 와서 죽일 꺼임(물론 피는 못해도 70%는 빼놔야 하겠지만)
미드 : 미드캐들은 피통이 적어서, 정글러가 갱킹을 와서 스킬을 다꼽으면 거의 킬이 나옴.
대신 라인이 짧기 때문에 스킬을 다 못맞추고 놓치는 일이 많으니 피를 많이 깎아놓는게
좋음. 6랩부터는 한방콤으로 적챔을 죽일 수 있고, 적도 그럴 수 있다는걸 염두에둬야함.
정글러 : 4랩갱, 6랩갱을 잘 치루고, 갱킹하느라 정글을 안돌면 안됨. 못잡을것같으면
빨리 빠져서 정글돌아야 함. 자기가 정글 좀 잘함녀 적 정글 침입해서 정글몹 빼먹는
카운터정글을 해도 좋음. 초반에 정글러가 잘 해주는건 무척 중요함.
봇듀오 : 사실 안전하게 플레이하면 정글러가 오기 전엔 서로 피만 죽어라 까고 마무리를
못짓는 경우가 많음. 서포터가 와드를 늘 깔아놔서 정글러가 갱오기도 힘든 곳. 무한파밍.
그리고 혹시 아트갱이 들어오면 더블킬이 터지는 곳이니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짤짤이를
잘 해두면 좋음.
2-3 게임초반2(봇라인 챔피언 기준 6~11랩)
슬슬 봇에서도 궁이 나오고, 미드캐릭들이 레벨이 높아지고 템이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각 라인을 로밍하기 시작함. 물론 그 이전에도 미드캐릭이 봇싸움이나 정글 싸움에
합류해서 화력지원을 해주는경우도 많지만 쪼랩때는 그닥..(사실 쪼랩때는 이때에도
미드캐릭이 미드 지박령이 되있는 경우도 많음)
미드캐릭의 화력이 절정에 이를 때임. 정상적으로 파밍을 했다면 ap를 올려주는 지팡이나
도란링 몇개 정도는 갖추고 있기 때문에 템적으로도 나쁘지 않은 수준인데다 레벨이
1~2랩 높아 스킬로만 정글캐나 봇듀오를 압박할 수 있는 상태.
따라서 내가 잘하는 미드다 싶으면, 미드에 몰려오는 미니언을 빠르게 정리한 뒤 남몰래
숨어서 봇이나 탑을 쳐들어가는 플레이를 해주게 됨.
즉 이 시점에선 정글러의 갱킹과 함께 미드캐릭터의 갱킹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음.
누커라는 이름 답게 순간폭딜이 쩔기땜에 오는걸 모르고있다가 한 반피남은게 콤보
한방에 죽어버림. 정글러들도 궁을 배우고 갱킹력이 한층 더 강화되기 때문에 이 때에 킬이
터져나오는 경우가 많음.
적 정글 버프몹에 대한 견제도 이루어지고, 특히 잡으면 5명 챔피언에게 경험치와 190골드
를 나눠주는 중립몹인 드래곤을 중심으로 신경전이 벌어짐.
물론 봇이 갱킹을 당해서 누군가 따였다면, 즉각 정글러와 봇듀오+미드캐까지 4명이서
드래곤을 따버릴 수도 있지만, 다들 정신없을때 랜턴든 정글러 혼자서 드래곤을 딴다던지
아무도 안죽었는데 깡으로 5명이 모여서 드래곤을 후딱 따버린다던지 하는 경우도 있음.
여튼 이 시점은 미드캐의 활약이 눈에 띄는 시간대임.
이때 킬을 따고 드래곤을 가져가고 해서 얻는 이득으로 템차이가 나기 시작해서 실력차가
나는 팀이라면 여기쯤에서 보통 게임의 승패가 갈리는 경우도 있음.
게임초반2에서 할일
탑솔 : 탑솔은 파밍이다. 드래곤한타(아무도 안죽었는데 5명이서 용땁시다)를 빼곤 그냥
파밍. 나와 가까운 정글에서 싸움이 났을때나 도와주러 감. 드래곤 한타도, 적 탑솔라이너
가 안가면 나도 안가도 됨. 텔레포트를 든 탑솔이면 드래곤 한타에 텔포로 지원가는 경우
도 있으니 이건 주의. 챔프에 따라서 미드갱이나 카운터정글을 시도할 수도 있음. 하지만
탑을 지키며 파밍하는건 잊지말것
미드 : 템 나왔으니 적 정글도 빼먹어보고, 우리팀 싸움나면 지원 후딱 가주고, 정글러와
합동갱도 가보고, 잡겠다 싶으면 탑이나 봇에 혼자서라도 가보자. 물론 그렇다고 미드
완전 텅 비워놓으면 미드 타워 날아감. 미드타워는 전략적으로도 꽤 중요한 편이라 날
아가면 곤란하니 이것저것 하는 도중에도 라인관리는 해줘야 함. 힘들면 정글러한테
부탁하자 커버좀 쳐줘여 하면서. 여기선 미드가 주인공임.
정글러 : 미드와 함께 아직 판을 짜는 정글러. 라인들이 건재한 한 정글러의 갱은 언제나
위협적이다. 이쯤되면 미드의 화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블루버프를 미드에게 줄수도있다.
스마이트를 든 정글러가 드래곤을 잡는데 제일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늘 드래곤을 염두
에 두자. 그리고 갱킹다닌다고 정글몹 먹는거 소흘하면 안된다. 또 각 라인이 위험하면
도와주고, 집갔다온다 그러면 조용히 미니언 막타 먹으며 지켜주자.(라인밀지마라!)
상대가 와딩잘해놨으면 오라클도 좋은선택. 만약 정글러 없으면 아마 드래곤이 많이
따이지 않을꺼임.정글러 있으면 거의 리젠될때마다 잡기 바쁜데.
봇듀오 : 봇에서 킬나오면 드래곤이 꽁짜! 안전하게 플레이하자. 아직 때가 아님. 아마
킬땄거나 cs잘먹었으면 원딜에게 bf등이 나와서 슬슬 화력이 붙기 시작할 때긴 함.
원딜은 라인을 계속 지키면서 cs챙기고 드래곤 한타나 가까운 정글 한타에 참여한다.
서포터는 와드를 좀더 사다가 적이 자주 다니는 루트에 꼽아준다. 원딜 혼자 cs 잘챙기면
미드나 탑까지도 가서 지원해줄 수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원딜을 챙기는 걸 잊지말고
말렸으면 원딜을 꼭꼭 챙기자.
2-3 게임 중반 1 (타워가 날아가기 시작할때)
이제 거의 모든 캐릭이 2랩궁을 찍고 코어아이템들을 거의 맞춰 다들 완성되어갈 시기.
특히 평타딜러(근딜,원딜,딜탱등)이 딜링 아이템을 장비할 시기라서, 그동안 미니언이나
짤짤이에 기스가 나있던 타워들이 하나씩 철거되기 시작함.
일단 타워가 철거되면 그 라인을 지키던 라이너들에게 약간의 잉여시간이 생기기 시작.
옛날엔 여기까지 미니언이 오면 타워가 죽여서 빨리빨리 복귀하고 해야했는데,
타워가 깨지면 좀 늦지막하게 가도 타워가 멀어서 미니언이 많이 안죽음.
고로 이렇게 생긴 잉여시간에 다른라인갱킹을 가기 시작함. 적 정글도 찔러보고.
특히 원딜과 서포터들이 싸돌아댕기기 시작함. 원딜은 평타가 주력딜이라 짱쎈 템이
나오면 타워철거 금방 함. 이렇게 탑솔, 봇듀오가 점차 타워를 깨고, 푸쉬력이 쎈 캐릭
일 경우 미드도 타워가 날아감. 이제 템이 좋아져서 한명 짤려나가면 바로 드래곤이
날아감. 아직도 드래곤 한타는 꽤 유효하기 때문에 신경전이 있고, 서포터가 여기저기
갱킹에 참여하면서 어시를 먹은 뒤 그 돈으로 와드를 사다 박기 시작. 맵을 와드로
밝혀버림.
이제 아직 멀쩡한 라인에 2~3명이 모여서 서로 신경전 벌이는 광경이 보임.
뭉쳐서 다니기 시작하며 슬슬 라인전,갱킹이 아니라 소규모 한타가 벌어지기 시작.
그동안 킬을 잘 딴 캐릭터를 중심으로 적을 견제하고, 2차타워를 노리는 백도어도
활발해짐.
이 시기에도 5:5한타가 빈번하게 일어나곤 함.
빠르면 이 시기에 넥서스가 터지기도 한다.
게임중반1에 할일
탑솔 : 탑솔은 이제 슬슬 템이 뽑힘. 갱킹이 와서 죽거나 피가 없어졌을 때, 집에
갔다가 타워가 털리기도 하고 그냥 타워가 미니언에게 맞아서 자연사하는 경우
도 있지만 탑솔은 후반을 도모하기 위해 보내진 포지션이기 때문에 템이 나왔
다면 본격적으로 한타에 참가하기 위해 로밍을 시작. 물론 탑에 미니언 어느정도
모이면 정리해서 자금을 마련.코어템이 나온 탑솔딜탱들은 이때부터 화력이
정말 강하게 나오기 시작.
미드 : 한타가 이루어질 때 포지션을 잘 잡아야 함. 누가 방템을 가고 안갔는지를
파악하고, 가능하면 방템을 안간 챔프에게 폭딜을 넣어야 한다. 쿨이 있는 누커와
달리 이때쯤 힘이 강해지는 원딜과 딜탱들은 꾸준히 딜을 하니까, 누커의 장점인
광역딜,광역cc,폭딜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해야함. 이제 원콤에 누군가를 죽이기
는 힘들어졌으니 아군이 패놓은 놈을 같이 패던지, 아군이 죽이기 좋게 스턴등의
cc를 걸어주고 방템 못간 원딜을 노려서 죽인다던지 하는 플레이 필요. 쿨이 빠
졌을 땐 다음 쿨이 올때까지 안전하게 무빙하자.
정글러 : 이쯤되면 정글러라고 다른 챔프와 다른점이 거의 없어짐. 모인 미니언
주워먹기도 하고 아군이 버프먹는거 도와주고.. 갱킹 갈 라인이 없어지니 이제
아군과 잘 뭉쳐다니며 한타를 준비. 드래곤은 여전히 체크하고, 바론에 대해서도
대비를 시작.
봇듀오 : 서포터는 이제 아이를 분가시키는 마음으로 원딜을 보내준다. 한타가
시작되면 2:2가 아닌 5:5이다. 물론 원딜을 아예 무시하란건 아니지만 (오히려
누군가를 구해줘야 한다면 원딜이 1순위) cc나 힐,버프를 다른 아군에게도 적절히
분배하고 와드를 잘 박자.
원딜은 이제 팀을 캐리할 수 있는 템이 나오기 시작했으니, 안전한 위치를 포지셔닝
하고 한타에서 꾸준딜을 할 수 있도록 함. 이제 원딜이 얼마나 적절하게 화력을
낼 수 있는가가 매우 중요해짐.
2-4 게임 중반2 (한타의 시대)
슬슬 만랩을 단 챔피언이 등장하기 시작하는 시기. 1차타워는 거진 날아가고 2차타워가
날아가기 시작함. 20분을 넘겼기 때문에 좀 심하게 발른 게임이면 서렌더가 나와서
이 전,혹은 한타 한번 제대로 털리고 나서 게임이 끝남.
본격적으로 아이템 쇼핑, 몰린 미니언 처리,라인정리 등의 사유를 제하면 모든 챔피언은
뭉쳐다니기 시작함. 뭉쳐다니면서 우리 정글몹도 먹고, 아직 안밀린 타워를 밀어도 보고,
미니언들을 정리하면서 바론앞에서도 깔짝대기 시작.
이쯤되면 다들 템이 좋아서, 한번 한타 지면 타워 하나는 걍 날아가는거고, 심하면
인히비터와 바론이 날아감. 따라서 와딩을 하고 적을 낚으려 하고, 반대로 와딩을 해서
적에게 안낚이려고 하기 때문에 이쯤되면 아무리 오라클을 안먹는 팀도 서포터를 비롯해
오라클 빨고 와드지우러 다님.
여기서 미니언이 찰져보인다고 먹으러 갔다가 낚여서 죽게되면 눕소리를 들을 수 있음.
이제 여기선 한타가 중요하니 한타 이야기를 합시다.
보통 한타가 이뤄지는 구도는 이러합니다.
이니시에이팅을 하는 챔피언이 한타를 원할 때 이니시에이팅을 함.
(이니시에이팅 : 한타 강제 유발. 강력한 원거리,광역 cc기 등)
탱커,딜탱이 난입해서 진형파괴를 시도함.
누커들, 원딜은 딜을 하기 좋은 위치를 잡으려고 하고, 서포터는 원딜이나
누커를 보호할 수 있게 자리를 잡고 딜탱이나 암살캐가 원딜이나 누커를 스토킹함.
아군 탱커는 이 딜탱이나 암살캐를 방해해서 우리 캐리들이 살 수 있도록 함.
이 후반 한타에서 중요성은 원딜>누커임. 누커는 일단 궁을 비롯해서 한 콤보를
돌렸다면 성공. 원딜은 지속적으로 꾸준딜을 해야하기에 꼭 보호해줘야 함.
만약 우리 딜탱이나 암살캐가 적 원딜을 죽이거나 누커가 콤보 돌리기 전에 땄다면
유리해지고, 반대로 우리 딜러,탱커가 적 딜탱이나 암살캐를 효과적으로 막아내고
역관광을 시켰다면 프리해진 우리 딜러가 적 딜러를 순식간에 죽일 수 있음.
그리고 누커는 특히 마법콤보를 불안하다고 튼튼한 딜탱이나 탱커한테 넣어버리는
불상사는 없어야 하는데, 누커가 확실하게 컸거나 딜탱,탱커의 피가 얼마 없어서
확실하게 죽일 수 있는게 아니라면 누커는 적 원딜,서포터,누커중 하나를 노려야댐.
이론은 이런데 워낙 캐릭별 특징이 많은 게임이라 늘 이런 일반화된 한타가
일어나는 건 아님. 하지만 대체로 저럼.
이렇게 한타를 이기고 나선, 바론을 따던지 인히비터를 밀던지 적 버프몹을
스틸하던지 어떤 식으로든 이익을 취하는게 중요하고, 그럴라면 한타 하기전에
라인을 밀어서 우리가 한타 이긴다음 다함께 미니언 막으러 가야하는 상황을
막아야함. 근데 라인을 밀러 챔프가 빠지면 그때 적이 이니시에이팅해서
4:5해버리면 걍 지는거라 개개인의 센스가 요구댐.
2-5 게임 후반(극후반)
게임이 질질 끌려서, 서로 한타 이기고 이득 못보는 상황이 발생하곤 하는데 이러면
거의 4~50분을 넘어 1시간까지 가는 초 장기전이 발생함.
이러면 지고 있던 팀에서도 미니언 먹고 템을 풀템맞추고 렙딸리던 챔프도 렙이 만랩
되면서 , 극적인 역전(지는 입장에선 극적인 빡침) 을 해볼 수 있다.
이렇게 풀템이 나오면 한타에서 한번 에이스 뜨는 순간 바로 인히비터에 넥서스까지
날아가는 경우가 많아,좀 더 한타에 신중함을 기해야 한다.
3 게임이 끝남
졌으면 다함께 멘붕하고 너때문에 진거라고 비난하는걸 잊지 맙시다.
졌으면 페어플레이어 답게 ㅈㅈ를 외치고 우리팀을 격려해주세요
이겼으면 아싸리 하면서 다시 게임시작을 누르시면 됨.
출처 - 인벤
'…리그오브레전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 군중제어기 정리 (2) | 2012.01.19 |
---|---|
20레벨에 룬페이지를 메우기 위한 ip정리 (0) | 2012.01.19 |
입문자를 위한 서포터가이드 (0) | 2012.01.19 |
초보자를 위한 종합가이드 - 1 (어떠한 챔프를 구입해야 하는가) (0) | 2012.01.19 |
정글 집중탐구 - 정글러 입문 가이드 2편 (0) | 2012.01.19 |
정글 집중탐구 - 정글러 입문 가이드 1편 (0) | 2012.01.19 |
싼챔프(450~1350) 총평 (0) | 2012.01.19 |
2시즌 마스터리 집중탐구 - 초보자 안내서 (0) | 2012.01.19 |
완전 초보를 위한 LoL 용어 가이드 (0) | 2012.01.19 |
룬페이지 집중탐구 - 정글러편 (0) | 201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