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는 말.
**** 아래글중에 대장숙련 400까지 올리는 글을 보다가 그대로 하다가 열받아서 취소시키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면서 기록했고, 많은 분들에게 도움되고자 공개합니다.
**** 저의 소개글이 종교적인 사항이 있는데, 이것은 논게에서 활동하다보니 생긴 것이니 팁계분들이 너무 예민하게 반응을 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 설명문은 파란색으로 했으며, 각 구간마다 한줄씩 띄었습니다.
**** 경매장 시세에 따라서 선택하도록 고려하다보니 선택이 많습니다. 같은 구간은 줄띄기를 하지 않고 붙였습니다.
**** 중요 선택의 기준은 시세 또는 본인이 재료를 가지고 있는가?로 정하면 편합니다.
**** 만일 노란색 구간에서 실패가 많아진다면 잠시 쉬었다가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우리섭에서의 암석가격의 편차가 매우 심했습니다. 그래서 시간을 두고 천천히 싸게 올라올 때마다 매입해 두었습니다. 암석은 많이 필요하므로 대장을 하려면 미리미리 사재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특히 작은 암석, 일반 암석)
**** 각종 마법막대는 판매가 가능합니다. 경매판매가 귀찮지 않다면 경비절감차원에서 강추합니다. 그러나 소비량이 적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1-2개씩 천천히 팔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 훌륭한 숙련 가이드가 생기면 그 루트에 있는 특별한 재료들은 가격이 급등합니다. 그러나 저의 방법은 선택이 많아서 적당히 오를 것으로 생각듭니다. 단지 박차도안 가격이 급등하리라는 걱정이 생기는 군요. 뭐..도안이야 원래 비싸니...
**** 마지막으로 설명문에 반말이 있는 것은 용서해 주세요. 고치려니 ㄷㄷㄷ 합니다.
.
.
**** 암석은 가격이 1골일 때 샀다. 내가 있는 섭에서는 1-5골로 편차가 심해서 가격쌀 때 미리미리 구매해 두었다.
**** 만일 대장을 할 예정이라면, 시간을 두고 작은암석 일반암석가격이 저렴할 때 아낌없이 미리 질러둬라.
001-025 조잡한 숫돌(001-015-035-055)(작은암석 x1) 30회 지름
.
.
**** 만일 작은암석이 20개당 1골도 안된다면 100-110 구간을 조잡한청동장화로 업시키기 위하여 60회를 닭치고 지르자.
025-065 조잡한 연막석(025-045-065-085)(작은암석 x2) 54회 지름
.
.
**** 부담없이 지르자. 72-75 사이에 실패가 매우 높지만 이것만큼 가격이 저렴한 것은 없다
**** 만일 작은암석이 싸고 일반암석이 비싸다면 작은암석으로 많이 지르기 바란다.
065-085 조잡한 연막석(025-045-065-085)
065-075 일반숫돌(065-065-072-080)(일반암석 x1) 21회 지름
.
.
**** 087-095 구간이 실패율 높지만 그래도 이것만큼 싼 것이 없다.
075-095 일반연마석(075-075-087-100)(일반암석 x2) 74회 지름
.
.
**** 이 구간에서는 일반연마석이 정말로 숙련업이 안된다. 우리섭에서는 20개당 일반암석이 가격이 0.8골 작은암석은 15골로 한달내내 유지되었다. 나는 일반연마석으로 질렀는데..너무 많이 질러서 몇회 질렀는지 기록하지 못했다. ㅠㅠ
095-100 일반연마석(075-075-087-100) <== 일반암석 많을 때
095-100 구리 룬새김 허리띠(070-110-130-150)(구리 주괴x10) <== 구리주괴 많을 때
095-100 조잡한 청동 장화(095-125-140-155)(청동 주괴x6 조잡한 연마석x6) <== 작은암석과 주석주괴 많을 때
.
.
**** 이 구간은 보통은 은마법막대로 숙련업한다.
100-105 은마법막대(100-105-107-110)(은괴x1 조잡한 연마석x2) <== 은괴 많을 때
100-105 구리 룬새김 허리띠(070-110-130-150) <== 구리주괴 많을 때
100-105 조잡한 청동 장화(095-125-140-155) <== 작은암석과 주석주괴 많을 때
.
.
**** 만일 은괴가격이 싸거나 또는 경매장에서 은마법막대가 비싸서 원가에 잘팔린다면 105-108구간을 은마법막대로 지르자.
105-108 은마법막대(100-105-107-110) <== 은괴 많을 때 또는 마법막대 잘팔릴 때.
105-110 구리 룬새김 허리띠(070-110-130-150) (구리주괴x10) <== 구리주괴 많을 때
105-110 조잡한 청동 장화(095-125-140-155) <== 작은암석과 주석주괴 많을 때
.
.
**** 대다수는 어께보호구를 지르겠지만, 만일 비정상적으로 일반암석이 비싸면 조잡한청동장화도 생각해보라.
110-125 조잡한 청동 어께보호구(110-140-155-170)(청동주괴x5 일반연마석x1)
.
.
**** 단단한 연마석이 나중에 37~40개 필요하다. 만일 큰암석이 비싸다면 최대 40회까지만 지르고 곧바로 청동무늬팔보호구를 지르자.
**** 보통은 연마석으로 숙련업한다.
125-140 단단한 연마석(125-125-137-150) (큰 암석x3)
.
.
140-150 청동 무늬 팔보호구(120-150-165-180) (청동주괴x5 일반연마석x2)
.
.
**** 만일 금마법막대를 경매장에 원가에 팔기가 쉽다면 150-152구간을 금마법막대로 지르자. 그러나 솔직히 철주괴2-3개 아끼려고...좀 귀찮다. 웬만하면 그냥 철제죔쇠를 지르자.
150-152 철제죔쇠(150-150-152-155) (철주괴x1)(154에 10회 실패했다. 150-152구간만 하는 것이 좋다.)
150-152 금마법막대(150-155-157-160) (금괴x1 일반연마석x2)
.
.
152-155 금마법막대(150-155-157-160)
.
.
****만일 금마법막대 경매판매가 어렵거나 금괴가격이 매우 비싸면 녹색철제다리보호구를 지르자.
**** 이글을 작성할 당시 나는 금괴를 개당 1골에 샀고, 금마법막대가 개당 20골에 팔려서 158까지 질렀다.
155-157 금마법막대(150-155-157-160)
155-157 녹색철제다리보호구(155-180-192-205) (철주괴x8 단단히연마석x1 녹색염료x1)
.
.
157-165 녹색철제다리보호구(155-180-192-205)(철주괴x8 단단히연마석x1 녹색염료x1)
.
.
165-185 녹색철제팔보호구(165-190-202-215) (철주괴x6 녹색염료x1)
.
.
185-200 황금 미늘 팔보호구(185-210-222-235) (강철주괴x5 단단한 연마석x2)
.
.
****만일 미스릴 박차 도안을 구할 수 있다면 숫돌대신에 연마석을 지르자. 박차에 연마석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단..박차 도안이 경매장에 200골~400골 하면 사지말라.
**** 숫돌과 연마석의 숙련은 같으나 재료인 암석 숫자가 다르다. 206부터는 10회 넘도록 실패해서 숫돌을 포기하고 연마석으로 9회 질러서 4업 올렸다.
200-206 견고한 숫돌(200-200-205-210) (견고한 암석x1)
.
.
206-210 견고한 연마석(200-200-205-210) (견고한 암석x4) 9회 지름.
.
.
210-215 견고한 미스릴 건틀릿(205-225-235-245) (미스릴주괴x6 마법옷감x4)
.
.
**** 마법옷감4개와 미스릴주괴 2개중 값싼 것으로 선택한다. 다음 단계에서 마법옷감 소비가 많으니, 마법옷감 구하기가 비싸다면 팔보호구를 질러라. 그러나 박차 도안이 있다면 건틀릿이 좋아보인다.
**** 나는 박차도안과 마법옷감이 있었기 때문에 건틀릿으로 질렀다
215-225 견고한 미스릴 건틀릿(205-225-235-245) <== 마법옷감4개
215-225 미스릴 미늘 팔보호구(215-235-245-255) (미스릴x8)(도안은 동부내륙지 맹금의봉우리의 하르간이 한정판매하니, 만일 판매목록에 없다면 나타날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 미스릴주괴 2개
.
.
225-235 미스릴 미늘 팔보호구(215-235-245-255)
.
.
**** 이쯤 되면 미스릴주괴와 마법옷감이 부족에 허덕일 것이다.
**** 미스릴 박차 도안을 구할 수 있으면 좋겠다.
235-250 미스릴 코이프(230-250-260-270)(미스릴주괴x10 마법옷감x6)
235-250 미스릴 박차(235-255-265-275)(미스릴주괴x4 견고한연마석x3) (도안은 32-61렙 몹에게서 드랍된다.)
.
.
250-260 강도 높은 숫돌(250-255-257-260) (강도 높은 암석x1) 의외로 쉽게 올렸다. 11회 지름.
.
.
**** 허리띠와 팔보호구의 렙제가 45이기 때문에 경매장에 팔면 팔린다. 만일 경매장에 팔 생각이면 허리띠 7개 지른 후에 팔보호구 8개를 만들어 파는 것이 좋다.
**** 보통은 팔보호구를 지른다.
260-270 토륨허리띠(250-270-280-290) (토륨 주괴x8)
260-275 토륨 팔보호구(255-275-285-295) (토륨 주괴x8)
.
.
****만일 연금술사가 있고, 아케이나이트 마법막대를 경매장에서 비싼 가격에 팔 수 있다면, 마법막대를 택하자. 마법막대 만들기가 까다로워서 만드는 사람이 별로 없다보니 가격이 매우 비싸게 팔릴 것이다.
**** 토륨팔보호구 선택은 일종에 도박이나 대다수는 277까지는 실패없이 올라간다. 황제의판금팔보호구는 토륨이 12개 들어가기 때문에 토륨팔보호구 3번 질러서 2번 성공하면 퉁~치게 된다.
275-280 아케이나이트 마법막대 (275-275-280-285) (아케이나이트 주괴x3 강도 높은 연마석 x1) (아케이나이트는 연금술사가 만든다. 재료는 토륨주괴x1 신비한수정x1이다.) (신비한수정은 토륨 채광때 가끔 나온다. 여명의설원에서 41회 채광해서 5개 나왔다.) 6회 지름.
275-280 토륨 팔보호구(255-275-285-295) <== 노란색 구간. 복불복
275-280 황제의 판금 팔보호구(270-290-300-310) (토륨주괴x12)
.
.
280-290 황제의 판금 팔보호구(270-290-300-310) (토륨주괴x12)
.
.
**** 별루비1개와 튼튼한가죽8개 중 가격이 싼 것으로 지른다.
**** 만일 별루비1개와 튼튼한가죽8개 가격이 토륨12개에 비해서 많이 비싸다면 292까지 황제의판금팔보호구로 복불복으로 질러보는 것도 좋다.
**** 내가 별루비를 1골에 샀는데 다음날 30골까지 순식간에 올랐다.
290-300 토륨장화(280-300-310-320) (토륨주괴x12 튼튼한가죽x8)
290-300 토륨 투구(280-300-310-320) (토륨주괴x12이나 별루비x1)
.
.
****휴~이제 300이다. 400까지 거의 다왔다. 조금만 더 힘내자.
**** 나는 이 구간을 11회씩이나 질렀다.ㅠㅠ.
**** 만일 실패없이 305가 되었다면 307까지 질러보자.
300-305 지옥 무게추(300-300-305-310) (지옥무쇠주괴x1 황천매듭옷감x1)
.
.
**** 느낌 좋으면 317까지 질러보자
305-315 지옥무쇠 허리띠(305-315-325-335)(지옥무쇠주괴x4)
.
.
**** 느낌 좋으면 322까지 질러보자
315-320 지옥무쇠 사슬 장갑(310-320-330-340)(지옥무쇠주괴x5)
.
.
320-325 지옥무쇠장화 또는 지옥무쇠 사슬 팔보호구 택1. (315-325-335-345)(지옥무쇠주괴x6)
.
.
**** 335를 향하여 최대한 질러본다. 다음인 가로날도끼가 주괴8개 소비하기 때문에, 8회중 1회가 성공하면 퉁~친다.
**** 333에서 8회 실패한 후에 334로 업해서 335는 포기했다.
325-334 하급 수호의 룬(325-325-330-335) (아다만타이트 주괴x1)
.
.
334-340 아다만타이트 가로날도끼(330-340-350-360) (아다만타이트주괴x8)(도안은 샤트라스 빛의정원 동남쪽 고난의거리 아론홀맨)
.
.
**** 340-350에서 숙련업을 할만한 것은 레알 이것밖에 없다. 특히 348-350은 때려죽여도 이것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 실패가 높다면 잠시 쉬었다가 다시 하는 것이 좋다.
340-350 하급수호의보호막(340-340-345-350) (아다만타이트주괴x1) (도안은 어둠달 골짜기의 와일드해머성체의 마리스톤헨드가 한정판매하니, 만일 상품목록에 없다면 리젠될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29회질렀다. 마지막 349에서는 10회만에 성공했다
.
.
**** 만일 장가르습지대의 세나리온 원정대 평판이 우호적이라면 숫돌 또는 무게추를 선택하는데, 대지의티끌2개와 황천매듭옷감2개중 저렴한 것으로 선택한다. 도안은 세나리온 원정대 병참장교 페드리엔이 판다.
**** 만일 세나리온 평판이 없으며 아다만타이트 마법막대 가격이 원가보다 약간 낮거나 높다면 마법막대로 숙련업하고 막대는 경매장에 파는 것도 좋아보인다.
**** 만일 평판도 없고 경매판매가 귀찮으면 코발트를 지르자.
**** 느낌이 좋다면 숫돌과 무게추는 356까지 지른다.
350-355 아다만타이트숫돌(350-350-355-360) (아다만타이트주괴x1 대지의티끌x2) <== 대지의티끌이 많을 때.
350-355 아다만타이트무게추(350-350-355-360) (아다만타이트주괴x1 황천매듭옷감x2) <== 황천매듭옷감이 많을 때.
350-355 아다만타이트 마법막대(350-350-355-360)(아다만타이트 주괴x10)(도안은 샤트라스 고난의거리 아론홀맨이 판다.) <== 평판이 없거나 마법막대 판매가격이 비쌀 때.
350-355 코발트 장화 또는 코발트 허리띠(350-360-370-380) (코발트 주괴x4) <== 평판이 없고 경매판매가 귀찮을 때.
.
.
355-360 코발트 장화 또는 코발트 허리띠(350-360-370-380) (코발트 주괴x4)
.
.
**** 만일 이터늄 마법막대 가격이 원가보다 약간 낮거나 높다면 마법막대로 지른후 경매판매도 좋아 보인다.
360-365 이터늄 마법막대(360-365-370-375)(이터늄주괴x4)
360-365 코발트 팔보호구 또는 코발트 어깨보호구 또는 삼각 코발트 방패(360-370-375-380)(코발트 주괴x4) 중 택1해서 지른다.
.
.
**** 느낌 좋으면 372까지 지른다
365-370 코발트 팔보호구 또는 코발트 어깨보호구 또는 삼각 코발트 방패(360-370-375-380)(코발트 주괴x4) 중 택1해서 지른다.
.
.
**** 코발트 다리갑옷 및 투구도 있으나 건틀릿에 비해서 구간이 짧으니 패스
**** 느낌 좋으면 382까지 지른다
370-380 코발트 건틀릿(370-380-385-390)(코발트 주괴x5)
.
.
380-385 가시 박힌 코발트 장화(380-385-390-395)(코발트 주괴x7)
.
.
**** 느낌이 좋으면 392까지 지른다
385-390 가시 박힌 코발트 어깨보호구 또는 일발적중 표창(385-390-395-400)(코발트 주괴x7)중 택1.
.
.
****코발트주괴1개가 사로나이트주괴1개보다 싸다면 톱니 모양코발트 전쟁 도끼를 한다.
390-395 사로나이트 수호 방패 또는 파수 방패(390-395-400-405)(코발트 주괴x6 사로나이트 주괴x4) <== 사로나이트가 많을 때
390-395 톱니모양 코발트 전쟁도끼(390-395-400-405)(코발트 주괴x10) <== 코발트가 많을 때
.
.
****395-400구간에는 4가지가 있다. 대지의 결정 1개와 물의 결정 1개와 코발트 주괴 1개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395-400 달궈진 사로나이트 다리갑옷(395-400-405-410)(코발트 주괴x5 사로나이트 주괴x5 대지의 결정x1) <== 대지의결정 1개 더 추가
395-400 번쩍이는 사로나이트 다리갑옷(395-400-405-410)(코발트 주괴x5 사로나이트 주괴x5 물의 결정x1) <== 물의결정 1개 더 추가
395-400 달궈진 사로나이트 허리띠 및 번쩍이는 사로나이트 허리띠(395-400-405-410)(코발트 주괴x6 사로나이트 주괴x5) <== 코발트주괴 1개 더 추가
.
.
드디어 끝났습니다. 모두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제 구멍 뚫으면 될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글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출처 - 인벤
'…W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히 초보자분들만을 위한 보석/마부설명! (0) | 2012.01.13 |
---|---|
귓속말 편리한 기능 (0) | 2012.01.13 |
Recount로 등짝 힘줄 딜량 파악하기 (0) | 2012.01.13 |
야정펫&희귀펫 관련팁(냥꾼전용)수정본 (0) | 2012.01.13 |
(스압)스톰윈드 경비병 룩변용 검과 방패 얻는 퀘스트 (0) | 2012.01.13 |
종족별 종특 대정리 (updated #1) (0) | 2012.01.13 |
법봉매크로 사용하기 (동영상 첨부수정) (0) | 2012.01.13 |
월드드랍 착귀템 드랍 위치 쉽게 찾는법 (0) | 2012.01.13 |
집행자 마부식 (0) | 2012.01.13 |
간단히 시야를 최대로 설정하기 (0) | 2012.01.01 |